시골빵집에서자본론을굽다

2018. 6. 13. 21:28

시골빵집에서 자본론을 굽다 (천연균과 마르크스에서 찾은 진정한 삶의 가치와 노동의 의미)
http://book.naver.com/bookdb/book_detail.nhn?bid=7662992

 

65
기술혁신은 결코 노동자를 풍족하게
만들어주지 않는다. 자본이 노동자를 지배하고 보다 많은 이윤을 얻기
위한 수단일 뿐이다.

 

67
노동력의 교환가치(임금)가 생활비 기술습득 비용, 자녀 양육비
의 합계액을 기준으로 정해졌다는 점을 생각해 보자
...
기계는 기술혁신의 상징이다. 찰리 채플린의 영화 <모던 타임스>

 

81
미하엘 엔더 Michael Ende는 나에게 '부패하지 않는 돈'이라는 생각을 가르
쳐준 장본인이나 다름없다. 대학 시절 읽었던 엔데의 유언-모모의
작가 엔데, 삶의 근원에서 돈을 묻는다

 

엔데의 유언 (모모의 작가 엔데 삶의 근원에서 돈을 묻는다)
http://book.naver.com/bookdb/book_detail.nhn?bid=7214078

 

131
기적의 사과
http://book.naver.com/bookdb/book_detail.nhn?bid=6043351


132
비료도 농약도 안 쓰면 농사꾼은 무슨 일을 하죠?
내가 자연재배 얘기를 하면 열이면 열, 그것부터 묻더라고.
농사꾼은 땅을 만들지


165
유럽에서는 하이 소사이어티로 갈수록 담배를 멀리한답니다.
그날부로 나는 담배를 끊었다.

 

175
일본 전국에 편의점이 약 5만개
한 점포당 약 서른 끼 분량의 음식이 폐기된다고 한다.
한국은?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면?


176
빵집의 좋은 점은 생산자 및 고객과 모두 소통할 수 있고, 생산자와
고객을 잇는 '허브'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이다.


177
엔데는 돈을 '사람들이 생활에서 사용하는 교환을 위한 돈 = 빵집
에서 쓰는 돈'과 '자본이 사업을 통해 불리려 하는 돈 = 자본으로서의
돈'으로 나누었다.
...
지역통화


195
상품의 가격을 떨어뜨리면 노동력이 값싸지고 노동력이 값싸지면
상품 가격도 떨어진다. 그 끝없는 반복 속에서 상품과 노동력의 질이
갈수록 떨어지는 것이 자본주의의 구조적인 숙명이었다.


204
기저귀 안 쓰는 육아법


212
그동안의 경험을 통해 터득한 삶의 진리는 당장에 무언가를 이루
려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. 그래서는 될 턱이 없다. 죽기 살기로 덤
벼들어 끝장을 보려고 뜨겁게 도전하다보면 각자가 가진 능력과 개
성, 자기 안의 힘이 크게 꽃피는 날이 반드시 온다.

 

220
사람이 있는 한 기술은 물려줄 수 있다.
하지만 기술이 있어도 수백년이라는 세월을 견딜 수 있는 나무가 더
이상 없다고 하니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.


224
빵만 보이고 세상이 안 보이게 되면 어떤 빵을 만들어 제공해야 할지를
모르게 된다.
...
여러 사람을 만나고, 많은 곳을 찾아가고, 다양한 책을 읽을 시간도 필요하다.